이 논문은 한국식 정보화 모델을 찾기 위해 IT전략∙목표, 정부, 기업, 국민의 네 측면에서 한국 IT발전과정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첫째, IT전략∙목표 측면에서 한국은 매우 도전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여기에 국가적 역량을 집중시킴으로써 짧은 시간에 IT의 압축성장을 달성해 왔다. 둘째, 정부는 IT발전방향을 정하는 선도적인 역할과 기업과 국민에 대한 간접적인 지원을 통해 IT발전의 가장 중심적 역할을 수행했다. 셋째, 기업은 정부의 지원하에 혁신지향적인 발전연합의 구성하여 첨단 기술과 서비스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였다. 마지막으로 국민은 정부가 조성한 정보화 저변에 힘입어 새로운 IT 서비스에 대한 유효수요를 조기에 창출하였고, 그 결과 IT부문의 압축성장이 가능했다. 결론적으로 이 논문은 현재 한국의 구조적 특성이 많이 바뀌고 있기 때문에 유비쿼터스 컴퓨팅 시대를 대비하여 새로운 정보화 발전모델을 찾아야 할 것을 제안한다.
키워드 : 한국형 정보화 모델, 정보화 성공요인, 정부역할, 정보화정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