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컨텐츠


디지털 위험사회 대응 정책방안

보안 운영 관리 >> 보안 모델 
작성자 최흥석 외 작성일자 2010-04-16
추   천 조회수 10157
포인트 무료 다운로드수 40
파   일  NIA_058.pdf
상세설명

<차례>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목적 및 필요성
제2절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2. 연구방법 및 대상
제2장 디지털 위험의 이론적 고찰
제1절 디지털 위험사회의 등장 및 현황
1. 환경 변화와 디지털 위험사회의 등장
2. 디지털 위험사회의 현황
제2절 디지털 위험의 개념 및 특성
1. 디지털 위험에 관한 주요 접근방법
2. 디지털 위험 현상에 관한 차별적 접근
: 위험 관리 차원의 접근
3. 디지털 위험의 종류와 범위
제3절 디지털 위험의 유형화 기준
1. 위험 효과에 따른 분류
2. 법적 기준에 따른 분류
3. 정보 사용에 따른 분류
4. 물리적 기반에 따른 분류
5. 위험 효과와 물리적 기반에 따른 분류
제3장 디지털 위험 종류별 사례 및 제도적 대응
제1절 국내 사례 분석
1. 저작권 침해
2. 바이러스 유포
3. 해킹
4. 스팸메일
5. 개인정보유출
6. 유해사이트
7. 인터넷 사기
8. 사이버 폭력
9. 허위정보 유포
10. 언어파괴
11. 정보격차
12. 생활감시
13. 인터넷 중독
14. 국내 디지털 위험 발생 및 대응 상 특징
제2절 해외의 제도적 대응
1. 일본
2. 미국
3. 유럽
4. 해외의 제도적 대응의 특징
제3절 비교분석 및 시사점
제4장 디지털 위험 인식 실태분석
제1절 일반인의 디지털 위험 인식 분석
1. 디지털 위험에 관한 인식 실태
2. 디지털 위험 심각성 인식의 특징
제2절 일반인과 전문가의 디지털 위험 인식 비교분석
1. 일반인과 전문가의 디지털 위험 인식 실태분석
2.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통한 위험인식 실태분석
제3절 디지털 위험 인식의 유형화
1. 디지털 위험 심각성과 수용성을 기준으로 한 유형화
2. 디지털위험 심각성 인식의 다차원척도분석에 의한 유형화
제4절 디지털 위험 인식에 근거한 위험 실태 분석 및 대응방안
제5장 정책적 시사점 및 결론
제1절 연구결과 및 정책적 시사점
제2절 향후 연구과제
참고문헌
부록1 설문지
부록2 전문가 인터뷰 설문지
부록3 디지털 위험 관련 판례목록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N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