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우리나라는 거대한 세계화의 흐름 아래, 자연 환경 및 자원의 위기, 급변하는 국제 정세, 저출산ㆍ고령화로 요약되는 인구구조의 왜곡 등의 영향으로 그 어느 때보다도 불확실성이 만연된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이러한 불확실성의 시대에 미래에 존재하는 위험에 대비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변화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국가 발전을 도모하는 것은 우리나라의 생존과 번영을 위하여 필수적인 일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동안 과학기술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형태의 미래연구가 주로 진행되어 왔다. 이 연구들은 우리나라의 국가경쟁력을 계속적으로 유지 발전시켜 나가기 위해 새로운 신사업을 발굴하고,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를 선도하기 위한 것이었다(최호진 외, 2008). 특히, 1990년대부터 정보사회가 도래할 것을 예측하고, 21세기를 대비한 국가전략으로 초고속인프라 구축 및 정보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그결과 세계최고수준의 정보통신 인프라 및 전자정부를 구축하게 된다. 향후 정보기술의 변화, 국가간의 경쟁 등을 고려 할 때, 지속적으로 세계 최고수준의 국가 정보화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환경변화에 맞는 비전과 전략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국가정보화계획을 수립․추진하는 것은 국가경쟁력을 강화하는데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최근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는 현상들이 고도화된 ICT인프라를 활용하여 저출산․고령화, 양극화, 저성장, 환경오염, 에너지고갈 등 사회 각 분야의 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 제고 및 경제활성화를 유도하는 등 국가차원의 정보화 비전제시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안목에서 향후 도래할 미래 사회에서의 ICT수요 변화를 예측하고, 이러한 변화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해 요구되는 바람직한 정부의 대응방향과 과제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 또한, 보다 거시적 차원에서 기술의 발전은 물론 자연환경과 사회구조적 변화를 포함한 사회전반에 걸친 특성변화 및 방향에 대한 예측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최근 미국, EU, 일본 등을 포함한 선진국은 물론이고 중국, 인도를 비롯한 개도국들도 21세기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당면과제를 해결하고 다른 국가들보다 경쟁력의 우위를 확보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의 미래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미래 연구에서 최근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주요국 중 미국, 영국, 중국, 인도를 대상으로 이들 국가의 분야별 미래 트렌드와 전략, 그리고 ICT 중심의 활용전략을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주요 국가의 미래연구를 통해 분석한 시사점을 토대로 향후 우리나라의 미래 ICT 활용전략 수립 시 참고할 수 있는 정책적 함의와 정책 대안을 벤치마킹하고자 한다.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N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