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컨텐츠


지능공간 혁명과 공간정보 서비스

기타 >> IT일반 
작성자 한국정보화진흥원 작성일자 2010-06-04
추   천 조회수 8879
포인트 무료 다운로드수 24
파   일  NIA_142.pdf
상세설명

 

◇ 현재 지능공간을 구축하려는 움직임이 활발히 진행 중

- 지능공간은 현실공간이 상황을 스스로 인지하고 필요한 서비스를 자율적으로 제공하는 공간으로 유비쿼터스 사회가 고도화된 단계

- 특히 지능공간은 기존 센서로부터 새로운 상황정보를 추출하는 창출형 모델을 가능케 하여 적은 비용으로 유비쿼터스 사회 구현 가능

- 현재 u-City 등 대부분의 유비쿼터스 프로젝트들은 공간지능화에 대한 고려 없이 ‘인터넷-지능사물’의 2계층 모델에 기초하고 있으나, 유비쿼터스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인터넷-지능공간-지능사물’의 3계층 모델로 전환 필요


◇ 유비쿼터스 지능공간으로의 진화에 발맞춰 공간정보의 개념도 진화 중

- 기존 GIS는 인간이 직접 이용하였으나, 미래 공간정보는 내비게이션 등 지능사물이 직접적인 이용주체가 되고 인간은 간접적으로 이용

- 그 결과 공간정보는 현실을 단순화시키려 하는 GIS와 달리, 현실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여 지능사물에 고품질 상황정보 제공

- 이를 위해 공간정보는 실시간성과 센싱을 주된 특징으로 함


◇ 공간정보가 가져올 주요 변화

- (현실공간과 가상공간의 결합) 공간정보가 두 공간을 연결하는 다리 역할을 하여 증강현실과 같은 ‘공간인터넷’ 출현

- (예측가능 사회 실현) 현실에 대한 아주 정밀․정확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게 되어 미래 예측능력이 강화되고 사회적·자연적 불확실성 감소

- (녹색성장 가속화) 공간 활용을 최적화하여 환경친화적 성장 지원

- (스마트 경제 구축) 지금까지 정보화가 경제활동의 네트워크화에 주력했다면, 앞으로 공간정보는 경제활동의 지능화를 촉진할 것으로 예상


◇ 공간정보의 발전을 앞당기기 위해서는

- 아주 전통적인 부문(측량, 지도제작), 비교적 새로운 부문(GIS), 미래 지향적인 부문(센서, 지능사물)간 협력적‧생산적 산업생태계 구축 필요

- 아울러 프라이버시 문제, 민간중심 활용체계, 중장기 국토지능화 전략 수립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