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 필요성 o 2008년 미국발 금융위기, 국제 원유가 급등, 예기치 못한 재난재해 등 사회가 예상하기 힘들게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후기 정보화 사회에 진입한 한국의 사회 변화 속도 및 미래의 불확실성은 지속적으로 증대 o 사회 환경의 급격한 변화와 불확실성으로부터 생존과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는 국가차원의 체계적인 미래예측과 이에 근거한 전략적 대응 방안 수립이 필수 과제로 등장 o 선진 각국은 국가미래예측기관을 중심으로 중장기적인 미래예측 활동을 주기적으로 실시하고 이를 정책에 적극 반영함과 동시에 국민과 국가 미래 비전을 공유 o 영국, 싱가포르 및 UN 밀레니움 프로젝트 등에서는 ICT 기반의 미래연구가 정책수립에 직접 활용되도록 추진 중이며, 싱가포르는 ‘05년 RAHS(Risk Assessment and Horizontal Scanning) 라는 기구를 설립해 미래연구와 정책을 상시적으로 지원하는 정부 형태를 갖춤 o 현재 우리의 미래연구 수준은 미래학의 본질적 성격을 제대로 담아내지 못하고 체계성이 떨어지며, 해외 연구소의 방법론을 차용하거나 전문가 의견에 의존하는 수준 o 국내 미래연구기관에서도 한국적 상황에 맞는 미래연구방법론의 필요성을 역설하고 발전방향을 제시함에 따라, 이를 수용하면서도 ICT 기반의 진보된 형태의 미래연구방법론 개발을 추진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