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통합(Digital Inclusion)이란 ICT의 포괄적 활용을 통해 고용창출, 삶의 질 향상, 사회적 참여와 사회 통합에 이르는 것을 의미 -해외 각국의 디지털 통합 정책은 주로 정보격차(digital divide) 해소 정책을 의미하고 있으며, 협의의 정보격차해소 정책에서 점차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 -디지털 통합은 정보격차해소를 통해 디지털 소외를 줄일 수 있는 ICT 활용과 경제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 담당 -디지털 통합을 정보격차 해소의 현상(phase)에 비추어 볼 수 있고, 이러한 문제는 정보통신 제품 및 서비스가 다양화되고 활용이 일상화되면서 각 단계를 순환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가능 -1단계 동기적(Motivational) 통합 : 디지털 기술사용에 대한 동기 -2단계 물리적(Physical) 통합 : 정보통신 제품 및 서비스의 사용뿐만 아니라 이를 이용한 콘텐츠의 사용가능 여부 -3단계 기술적(Skills) 통합 : 디지털 기술사용 능력 -4단계 활용적(Usage) 통합 :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한 활용을 통한 통합
[출처 - 한국정보화진흥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