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A, 비대면 서비스 개발‧운영 환경 주요 보안 취약 사례별 대응방안 |
시스템/엔드포인트 >> 침해 대응 | |
![]() |
작성자 | KISA | ![]() |
작성일자 | 2022-08-03 |
![]() |
추 천 |
![]() |
![]() |
조회수 | 30535 |
![]() |
포인트 | 무료 | ![]() |
다운로드수 | 125 |
![]() |
파 일 | ![]() |
![]() |
||
상세설명 |
산업 전반에 비대면 확산 및 디지털 전환이 가속화됨에 따라 새로운 사이버 보안 위협도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특히, 클라우드, 빅데이터, AI 등을 활용한 비대면 업무 환경 도입 및 디지털 전환 과정에서 관련 시스템과 서비스의 보안 취약점을 노린 공격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안전한 디지털 이용 환경을 조성하고 국민들이 비대면 서비스를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도록 원격교육, 화상회의 등 비대면 서비스를 개발‧운영하는 중소기업의 인프라(시스템, 네트워크 등)를 대상으로 보안 취약점을 점검하고 기업이 해당 취약점을 조치할 수 있도록 지원하였다. 본 매뉴얼는 비대면 서비스 개발·운영 환경에 대한 보안 취약점 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발견된 주요 취약 사례에 대한 위험성을 알리고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한 고려사항과 대응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침해사고 예방 및 이용자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