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전보건공단 산재 예방 서비스,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으로 똑똑해진다 | 2024.09.10 |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 추진 계획 수립...국민 편의 증진, 인공지능·데이터 기반 사업 등 추진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인공지능, 빅데이터, 디지털 트윈 등 급변하는 디지털 환경을 반영하고 데이터에 기반한 혁신 산재 예방 서비스 구현 노력이 추진된다. 안전보건공단(이하 공단)은 디지털플랫폼정부 구현을 위한 4대 추진전략을 수립하고 올해부터 24개 세부 과제 시행에 나선다. 4대 추진전략은 ①국민 편의 중심·산재 예방 허브 ②인공지능·데이터 기반 사업 수행 ③민관이 함께하는 성장 ④안전한 산재 예방 서비스 환경이다. 주요 추진 세부 과제는 △약 50여종의 지원 시스템을 통합한 ‘산재 예방 종합 포털’ 구축 △빅데이터와 인공지능을 활용한 고위험 사업장 예측‧분석 및 실시간 안전대책 제공 △플랫폼 종사자 대상 지역별 기상정보 등 맞춤형 정보 제공 확대 △종이 없는 산재 예방 서비스 구현 △사물인터넷(IoT) 기술에 의한 고위험 사업장 화학물질 노출 수준 실시간 모니터링 △산재 예방 관련 공공데이터 개방 확대 △사이버 위협 대응 강화 등이다. 공단은 이번 산재 예방 디지털플랫폼 추진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 6월부터 추진 과제 발굴을 시작했으며, 시민 참여 혁신단 의견을 반영해 지난달 말 세부 과제를 최종 확정했다. 본 과제들이 본격적으로 추진되면 산재 예방 서비스에 다양한 디지털 혁신이 이뤄질 전망이다. 공단은 전국 기관장 회의에서 해당 과제를 공유해 공감대를 형성하고, 홈페이지·전광판 홍보 등을 통해 국민 체감도를 높일 계획이다. 안전보건공단 안종주 이사장은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계획으로 공단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과 과학적 산재 예방 사업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며, “앞으로 국민이 체감하는 편리한 산재 예방 서비스 제공 확대를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