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를 활용한 스마트한 미래 축산을 만나보세요 | 2024.10.03 |
농식품부, ‘제2회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경진대회’ 수상자 선정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지난 2일 ‘제2회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경진대회(이하 경진대회)’를 개최하고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스마트축산 우수 모델을 시상했다. ![]() [사진=농식품부] 이번 경진대회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생산성 향상, 경영비 절감, 악취·탄소 저감 등 복합화된 축산 현장 문제 해소에 기여한 스마트축산 우수모델을 발굴·시상하고 축산 현장에 확산을 촉진하기 위한 것이다. 지난 5월 공모를 시작으로 8월 전문가 심층 평가를 통해 결선 진출 7개 팀을 엄선하고 지난 2일 현장 발표평가를 통해 우열을 겨뤘다. 이번 경진대회는 스마트축산 인공지능(AI) 상용화 부문과 알고리즘 부문으로 나눠 진행됐으며, 관심을 모았던 상용화 부문에는 총 3개 팀이 한치의 양보 없는 진검 승부를 펼쳤다. 구체적으로 △(상용화 부문) 인공지능(AI)·빅데이터 기술을 보유하고 현장에 적용 중인 기업 △(알고리즘 부문) 아직 현장에 적용하지 않았으나 축산 빅데이터를 활용한 알고리즘 개발 기술을 보유한 기업과 단체·대학 등이 참가했다. 상용화 부문 농식품부 장관상은 한우의 생육·건강·번식 등에 관한 광범위한 데이터를 분석·학습·알고리즘화해 폐사율 감소(10%→1%), 생산성 향상(10%) 등 성과를 창출한 ‘바딧’이 차지했다. 수상업체는 △송아지와 암소 등의 사료 섭취 및 반추 시간·기침 횟수·활동량과 축사 내 온·습도 데이터 축적 △개체별 건강 관리에 관한 알고리즘(AI) 개발 △목걸이형 웨어러블을 활용해 건강상태 실시간 점검·사료 급이기/송풍팬 등을 원격 통합제어하는 솔루션을 개발·적용해 이러한 성과를 창출했다. 최우수상은 돈군별 사료급여량과 증체량 등의 데이터를 수집·분석·학습·알고리즘화해 사료효율 최적화 모델을 상용화한 ‘인트플로우’가, 우수상은 계사별 급이·음수·온/습도·체중 데이터를 집계·분석·활용해 출하일령 예측에 관한 알고리즘을 상용화한 ‘호현에프앤씨’에게 돌아갔다. 또한 알고리즘 부문 장관상은 축사 온/습도 등 환경 데이터와 평균체중·사육밀도 등을 연계 분석해 증체량·사료 요구율을 예측하는 알고리즘을 개발한 ‘애그리로보텍’이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영상학습 모델을 통한 돼지의 생육단계별 체중 관리에 관한 알고리즘·거세우 유전체 정보를 이용해 조기 출하 또는 고급육 생산 개체 분류 등 맞춤형 사육에 관한 알고리즘·꿀벌의 이미지 분석을 통해 다양한 질병의 조기 발견에 관한 알고리즘을 제안한 업체와 대학이 입상했다. 이번 행사를 준비한 농식품부 김정욱 축산정책관은 “이번 행사는 우리 축산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 후계·청년농이 스마트축산을 통해 우리 축산업의 미래성장산업화를 구현하는 계기가 된 자리였다”며, “정부는 인공지능(AI) 활용 스마트축산 우수사례를 보급 확산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