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헬스케어 분야 특허심사 가이드’ 고객과 함께 만들어 갑니다 | 2024.10.19 |
특허청, 산학연 관계자와 현장소통 간담회 개최
[보안뉴스 박미영 기자] 특허청은 지난 18일 디지털헬스케어 분야 산학연 관계자들과 현장소통 간담회를 개최한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는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에 대한 심사실무가이드 제정안을 공유하고, 현장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마련됐다. [사진=특허청] 디지털헬스케어 분야의 국내 관련 출원 건수는 2015년 2,785건에서 2023년 7,141건으로 급속히 증가하고 있고, 글로벌 시장 규모도 2019년 1,740억달러에서 2025년 6,570억달러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디지털헬스케어 기술은 디지털공학 및 의약 기술이 결합된 융합기술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최신 정보기술(IT) 기술과 만나 새로운 기술들이 출현하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심사실무가이드 제정이 요구돼 왔다. 특허청은 관련 업계의 의견을 사전 청취하고, 컴퓨터와 같은 인접 분야의 심사실무가이드·외국 심사 사례·특허법원 판례 등을 분석해, 구체적 사례 중심의 심사실무가이드 제정안을 마련했다. 그간 건강관리(헬스케어) 산업의 특성상 특허요건 판단 시 효과 부분이 중요하다는 의견과 특허명세서 작성이나 권리 범위 설정 등에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이 많았다. 새로운 심사실무가이드는 이러한 건강관리(헬스케어) 산업계의 의견과 간담회에서 수렴된 현장 의견을 반영해 사례를 중심으로 만들어질 예정이다. 특허청 손창호 바이오헬스케어심사과장은 “심사실무가이드가 최종 완성되면 관련 업계 등에 전파해 성장동력을 지원할 예정”이라며, “이번 가이드가 출원인에게 심사 결과에 대한 예측가능성을 향상시켜 적절한 대응 방안을 모색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박미영 기자(mypark@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