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위, 민간과 공동으로 개인정보 보호와 데이터 활용 생태계 조성 방법 찾는다 | 2024.11.20 |
개인정보위·한국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 공동주관 ‘개인정보 정책포럼’ 개최
개인정보 신산업 혁신지원 사례 공유와 개인정보 유출 경향 및 대응방향 논의 [보안뉴스 박은주 기자] 개인정보보호위원회(위원장 고학수, 이하 개인정보위)는 한국개인정보보호책임자협의회(회장 염흥열, 이하 협의회)와 공동으로 2024년 11월 20일 ‘개인정보 신산업 혁신 지원 제도 및 활용사례’와 ‘개인정보 유출사고 최근 경향과 대응방향’을 주제로 ‘개인정보 정책포럼’을 성황리에 개최했다. ![]() ▲개인정보 정책포럼 현장[사진=보안뉴스] 서울 은행회관에서 개최된 이번 포럼은 산·학·관 개인정보 보호책임자(이하 보호책임자) 등 관계자와 일반국민 2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개인정보위 고학수 위원장은 개회사에서 “협의회 출범 이후 개인정보위와 협의회가 공동으로 첫 민·관 정책 포럼을 개최하게 되어 의미가 크다”며 “개인정보위가 견고한 개인정보보호 체계를 전제로 국민 신뢰 기반의 데이터 활용생태계를 조성해 나가는 데 현장 목소리가 충분히 반영될 수 있도록 협의회가 소통과 협력의 장으로서 역할 해주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이어서 협의회 염흥열 회장은 “인공지능 기술 발전에 상응하는 개인정보보호 규범이 마련되어야 하며 개인정보위의 정책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있도록 협의회가 다양한 활동을 통해 지속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전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협의회 홍관희 부회장(LG유플러스)의 진행으로 ‘개인정보 신산업 혁신 지원제도 및 활용사례’에 대한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이 있었다. 먼저 개인정보위 김직동 개인정보보호정책과장과 전승재 조사3팀장이 규제 유예 제도, 개인정보 안심구역, 기업 혁신지원 원스톱 창구와 사전적정성 제도 등을 소개했다. 이어서 △비바리퍼블리카 안규찬 본부장의 안면결제 사전적정성 검토 신청 사례 △서울대병원 김현경 변호사의 가명정보 활용을 위한 국외이전 제도 개선 사례 △뉴빌리티 권호현 변호사의 자율주행 배달로봇 원본데이터 활용 사례 △국립암센터 김현진 팀장의 개인정보 안심구역 운영 사례 등이 공유되고 관련 논의가 진행됐다. 패널들은 사례를 공유하며 개인정보위에서 지원하는 신사업 제도 및 규제샌드박스를 통해 실현하고자 하는 사업 및 연구·개발 등을 진행하며 법률상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었다는 의견을 전했다. 두 번째 세션에서는 협의회 간사인 장준영 세종 변호사의 진행으로 ‘개인정보 유출사고 최근 경향과 대응방향’에 대한 주제발표와 패널토론 시간을 가졌다. 먼저 개인정보위 김해숙 조사2과장이 최근 개인정보 유출 경향과 유형별 주요사례를 발표했다.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핸드북[이미지=개인정보위] 한편, 협의회 부회장인 홍관희 LG유플러스 보호책임자는 개인정보위와 협의회가 보호책임자의 업무 지원을 위해 공동으로 발간한 ‘개인정보 보호책임자 핸드북’을 공개하면서 “핸드북이 보호책임자가 조직 내에서 개인정보 처리에 관한 책임자로서 핵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길라잡이 역할을 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핸드북은 보호책임자 제도(역할, 직위․자격요건, 독립성 보장 등) 및 업무(거버넌스 구축, 개인정보 처리환경 분석, 개인정보보호 활동, 침해대응 등), 보호책임자가 업무 수행과정에서 필수적으로 확인해야 할 체크리스트와 개인정보처리 흐름도를 담은 부록으로 구성돼 있다. 개인정보위 누리집과 CPO 협의회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개인정보위와 협의회는 개인정보 정책·제도가 현장에서 정착될 수 있도록 다방면의 소통과 협력을 지속해 나갈 계획이다. [박은주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