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안보수사국, 경제안보 위협하는 해외 기술유출 총력 대응 나서 | 2024.11.27 |
올해 검거 25건, 2021년 이후 최다 검거...해외 기술유출 범죄 근절에 수사역량 집중
범죄수익 49억원도 환수, 기술유출 범죄 동기 근원적 차단에도 주력 [보안뉴스 김영명 기자] 경찰청 국가수사본부 안보수사국은 국가안보에 직결되는 해외 기술유출 범죄 근절을 목표로 총력 대응한 결과, 올해 국가핵심기술 등 해외 기술유출 사범 검거 건수가 25건으로 국가수사본부 출범 이후 가장 많은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 ▲경찰청 로고[로고=경찰청] 또 전체 기술 유출사건에서 해외 유출사건의 비중도 올해 처음으로 20% 이상을 차지했으며, 계속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해외 기술유출 사건 비중은 2021년 10.1%, 2022년 11.5%, 2023년 14.7%였으며, 올해 1월~10월에는 21.7%를 기록했다. 해외로 유출된 사건을 기술 분야별로 보면 △디스플레이(8건, 32%) △반도체(7건, 28%) 순으로 우리 주력산업에 대한 유출 위험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주요 검거사례를 살펴보면, 먼저 10월에는 해외 영업에 사용될 것을 알면서 피해업체의 디스플레이 관련 영업비밀을 촬영, 공범에게 제공하고 금전적 대가를 받은 피해업체 전(前) 공정팀 직원 등 2명을 검거했다. 9월에는 대기업 엔지니어들이 국가핵심기술인 20나노급 D램 반도체 공정자료 유출 및 해외 이직 후 반도체 개발에 부정 사용한 사건이 발생, 주 피의자 2명을 구속했다. 앞서 7월에는 해외 경쟁업체로 이직한 후 사용할 목적으로 OLED 관련 국가핵심기술 등을 사진 촬영해 유출한 피의자 등 4명을 검거, 그 가운데 2명을 구속하기도 했다. 또한 올해에는 피의자가 국가핵심기술을 유출하고 받은 급여·체류비용 등을 특정해 기소 전 추징보전 하는 등 범죄수익 환수에 집중한 결과 6개 사건에서 약 49억원 상당을 환수하는 성과를 거뒀다. 주요 환수사례를 보면, 9월에는 피해업체 영업비밀을 촬영해 중국 업체 기술이전 계약에 부정 사용한 피의자들의 자동차·예금·주식 등 21억 6,000만원을 기소 전 추징보전했다. 6월에는 해외 경쟁업체로 이직 후 사용하기 위해 국가핵심기술을 클라우드에 유출한 피의자가 업체에서 받은 급여·수당·성과급·체류비 등 3억 8,000만원을 기소 전 추징보전하기도 했다. 안보수사국 관계자는 “첨단화·조직화하는 해외 기술유출 범죄 근절을 위해 전담 수사 인력 증원을 추진하고 있다”며 “위장수사 등 최신 수사기법 도입을 검토하는 한편, 관계기관들과 브로커 처벌 규정 신설 등 법제 개선에도 힘을 합치겠다”고 밝혔다. 이어 “기술유출 피해를 입었거나 의심 사례를 목격했다면 경찰청 홈페이지에 개설된 ‘온라인 113 신고센터’로 신고하거나, 시도경찰청 산업기술보호수사팀에 신고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김영명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