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칼럼] 대한민국 항공보안, 이제는 세계와 경험을 공유할 때 | 2025.05.16 |
대한민국이 만든 항공보안의 길, 다른 나라들에게 이정표 될 수 있어
[보안뉴스=박재완 대한민국항공보안협회 회장] 2004년부터 대한민국 항공보안에 큰 변화가 시작됐다. 국제민간항공기구(ICAO)는 9·11 테러 이후 모든 회원국의 항공보안 실태를 점검했고, 우리나라도 그 대상이 됐다. 결과는 냉정했다. 항공보안 규정은 미비했으며, 보안요원 교육체계는 부족했고, 현안을 논의할 관계기관 협의기구도 운영이 미흡했다. 이후 대한민국은 과감하고 지속적인 개선 노력을 통해 이제는 국제 기준을 능동적으로 이끌어갈 수 있는 항공보안 선진국의 반열에 올라섰다. ![]() [자료: 게티이미지뱅크] 얼마 전 필자는 7월 10일 개항을 앞둔 캄보디아 프놈펜 신국제공항을 찾았다. 현지 민간항공청 제1차관은 “항공보안 수준이 국제기준에 미치지 못해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토로했다. 캄보디아는 현재 항공보안 업무를 스위스계 외국 보안회사에 맡기고 있다. 이 회사는 캄보디아 민간항공청과 합작 형태로 2023년부터 15년간(2038년까지) 캄보디아 4개 국제공항의 항공보안을 전담한다. 주권과 직결되는 항공보안을 외국 기업에 위탁하는 현실이 안타까웠다. 대한민국의 항공보안 경험은 이제 국제사회, 특히 항공보안이 취약한 국가들과 공유되어야 한다. 2004년 ICAO 항공보안 감사 이후, 대한민국은 항공보안 체계를 전면 개편해 국제기준에 부합하는 수준으로 향상됐다. 관련 법령 제정, 전담조직 신설, 국가민간항공보안계획(NASP) 수립 등 근본적 변화가 이루어졌고, 현재는 선진 항공보안 국가로서 개발도상국에 대한 지원과 협력이 요구되고 있다. ![]() ▲박재완 대한민국항공보안협회 회장 대한민국은 이제 국제 항공 안전을 책임지는 파트너로서 목소리를 내야 할 시점이다. 세계 하늘길의 안전망을 더 촘촘히 만들기 위해, 경험을 나누고 시스템을 수출하며 인재를 양성하는 ‘대한민국 항공보안의 임무’가 지금 시작되어야 한다. 대한민국이 만든 항공보안의 길이 누군가에겐 기준이 되고, 우리의 지난 20년이 다른 나라의 미래를 여는 이정표가 된다면, 그것이 바로 항공보안 선진국으로서 우리가 수행해야 할 책무일 것이다. [글_ 박재완 대한민국항공보안협회 회장]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