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제품정보


AI가 의료를 만났을 때…‘AI 의료 워크숍 2025’ 성료 2025.08.27

AI 의료 융합 생태계 구축, 국방·합참 등 타 분야 확산 모색
실무진, AI 적용 사례 공유…중환자실 예후 예측부터 수술 자동화까지


[보안뉴스 여이레 기자] 인공지능(AI)을 통한 의료 부문 변화와 혁신의 최전선에서 정보와 비전을 공유하는 자리인 ‘AI 의료 워크숍 2025’가 27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성료했다.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AI 의료 워크숍 2025’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 하고 있다.[자료: 보안뉴스]


ISEC 2025 조직위원회가 주최하고 서강대학교 웹3.0기술연구센터와 더비엔이 주관한 이번 행사에선 ‘변화하는 미래 의료, AI와 협업하다!’란 주제로 의료와 인공지능의 융합이 가져올 변화와 혁신을 심도 있게 다뤘다.

개회사에서 박수용 웹3.0기술연구센터장(서강대학교)은 “AI 기술을 기반으로 전문적인 의료 분야에 AI 도입에 대해 논의할 적기”라며, “AI는 단순한 기술이 아니라 의료 파트너인 시대”라고 말했다.

이어 축사를 통해 이진우 대한의학학회 회장은 “의료도 변해가는 상황에서 의료계에서도 많은 고민과 논의가 이뤄지고 있기에 AI 기술이 미래의료에 핵심적인 역할을 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남인순 보건복지위원회 더블어민주당 국회의원은 “AI 기술이 의료에 적용되는 것이 매우 중요해진 상황에서 이번 워크숍을 통해 AI 의료의 전문적 토의는 물론 글로벌 정책 제안까지 연결될 수 있길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27일 서울 코엑스에서 ‘AI 의료 워크숍 2025’가 ISEC 2025 동시 개최 행사로 열렸다. [자료: 보안뉴스]


이번 워크숍의 프로그램위원장을 맡은 도경화 교수(서강대학교)는 기조연설에서 “AI 기술이 단순 헬스케어가 아닌 핵심 메디컬로 연결되기 위해서는 AI 기술의 단편적 적용보다는 신뢰성이 확보된 협업 기반의 AI 메디컬 통합 플랫폼이 필요하다”며, “AI 의료 데이터와 기술을 공유할 수 있는 열린 마인드, 의료계와 AI 필드와의 연계를 위한 실질적 요구사항을 논의해야 할 시기”라고 말했다.

이어진 강연에서 김성현 한국지능사회정보원(NIA) 수석연구원은 초거대언어모델(LLM) 발달에 따른 의학 분야의 변화를 짚으며, 다양한 의료 데이터의 모달리티를 소개하고 의료 데이터 활용 사업 사례를 소개했다.

고태훈 가톨릭대 의과대학 조교수는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위험도를 계산해 환자 예후를 예측하고 의료진 업무 효율을 높이는 중환자의학 데이터 기반 AI 모델 개발 경험을 공유했다. 김덕석 엠티이지 대표는 수술 동영상과 수술 환경에서 발생하는 센서 및 로봇 데이터를 기반으로 외과 수술 자동화를 위한 피지컬 AI의 기반을 닦는 활동들을 살펴봤다.

양승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수석은 ‘가명정보 제도와 AI 의료 분야에서의 활용’이란 주제로 의료 데이터와 AI를 둘러싼 정책 이슈를 설명했다.

김영재 가천대길병원 조교수가 ‘X레이에서 척추변형 자동 분석을 위한 AI 기술’을 주제로 발표하며, 임형준 시야인사이트 대표와 김유정 브라이센코리아 사업부장이 각각 암환자 어지럼증 정밀의료 진단과 뇌졸중 합성데이터 관련 AI 기술 적용 방안을 소개했다.

▲AI 의료 워크숍에서 발표자들이 패널토의를 진행하고 있다. [자료: 보안뉴스]


마지막 순서로 마련된 패널토의에선 각 세션 발표자들이 한자리에 모여 AI 의료의 현재와 미래, 제도적 과제와 기술적 한계에 대해 심층적 의견을 나눴다.

[여이레 기자(gore@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