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개념의 출입통제 Schlage AD Series | 2010.05.17 |
사용자와 엔지니어 모두를 위한 진화
언제인가부터 사무실이나 집의 현관을 들어갈 때 출입증, 지문인식 또는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일들이 일상생활이 된지 벌써 오래다. 그리고 이러한 일상들이 앞으로 더욱 보편화 될 것이며, 기술의 발전 속도가 너무 빨라 향후 수년간 어떠한 형태로 우리들의 일상이 변화할 지에 대해서 예측할 수 없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러한 변화들을 고려할 때 지금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일반적인 출입통제 방식에서 탈피하여, 좀 더 편리하고 많은 유용한 기능을 제공하면서 경제적인 부분까지도 고려한 솔루션에 대한 요구는 전반적인 대세였다. 그러나 지금까지 이러한 전반적인 시장의 요구를 만족시킬만한 대안의 출현이 아쉬웠는데, 최근 글로벌 시장에서 출입통제 솔루션을 공급해오고 있는 당사에서 이러한 시대적 흐름을 만족시키는 새로운 개념의 출입통제 솔루션을 출시하게 되었으며, 지면을 통해 소개하게 되어 매우 다행스럽게 생각한다. 그림1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별 출입문에 대한 전통적인 출입통제 구성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인 구성에 있어서는 별반 다르지 않다. 출입용 카드, 비밀번호, 지문인식 등의 출입권한을 판독하는 단말기, 판독된 출입권한에 따란 문의 열림과 잠금 상태를 실제 동작하는 전자정, 내부에서 외부로 퇴실시에 전자정을 해정하는 퇴실버튼(또는 동체 감지기), 문의 상태를 파악하는 마그네틱 스위치, 그리고 문에 부착된 기계식 도어락 등이 사용자가 표면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구성제품들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제품 외에 콘트롤러, 전원공급장치 등도 함께 사용되지만 일반 사용자는 볼 수 없는 곳에 설치되어 있다. 특히 구성제품 간에는 여러 배선을 통해 통신과 전원을 공급받는데, 배선을 위한 배관도 또한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이렇게 하나의 개별적인 출입문 통제를 위해 필요한 구성품이 생각보다 많고, 이들을 연결하기 위한 배선·배관 또한 설치자 그리고 사용자 모두에게는 고민거리다. 하나의 플랫폼으로 단일화된 출입통제 솔루션 이와 같은 고민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을 고민하다 생각난 것이 바로 카드리더, 전자정, 마그네틱 스위치 및 도어록 등을 통합하여 하나의 플랫폼으로 단일화하는 것이었다. 이 생각이 바탕이 되어 지금 소개 할 출입통제 솔루션 AD시리즈가 탄생하게 되었다. AD시리즈는 그림2에서 보듯이 외형상으로 우리가 보는 디지털 도어록과 매우 유사한 외형을 갖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도어록은 원천적으로 주거용으로 설계된 제품으로, 본 AD시리즈와 이들 디지털 도어록의 기능과 사양을 비교해 보면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AD시리즈에서 제공 가능한 카드리더 기능을 보자. 카드기술방식은 마그네틱, Proximity, 스마트카드 등 여러 다양한 기술들이 보편화 되어있다. 이 기술들은 단독 또는 여러 기술이 하나의 카드에 함께 사용되기도 하는데, AD시리즈에서는 13.56MHz(ISO15693과 ISO14443)과 125kHz 등의 주종을 이루는 대부분의 기술을 채택하고 있으며, 마찬가지로 이들 기술이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구성된 카드리더를 제공한다. 또한 이들 카드리더 부분이 그림3에서와 같이 탈착이 가능하여 새로운 기술을 적용하거나 또는 용도변경으로 인한 변화 등이 있을 경우 다른 카드리더 형식으로 쉽게 전환할 수 있게 했다. 이는 특허된 개념의 모듈러식 설계개념을 적용하여 사용자와 엔지니어 모두에게 편리성과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개념이라 보겠다. 모듈 탈착으로 업그레이드 간편 AD시리즈가 제공하는 통신방식은 단독형(Standalone), 온라인 모두를 제공하며, 온라인에서도 유선과 무선 방식 모두를 제공한다. 단독형의 경우, PDA 등을 통해 프로그램이 가능하며, 도어록 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사용내역(출입내역, 사용시간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유선방식의 온라인 제품은 RS485방식으로 ACU와 직접통신이 이루어지며, PIB(Panel Interface Board)라는 인터페이스 모듈을 제공하여 Wiegand 포맷의 통신도 가능하다. 여기에 배관, 배선 등이 쉽지 않은 현장의 적용을 위해 무선방식의 제품도 제공한다. 이들 또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또는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전환이 가능한데, 이것 역시 특허된 기술인 모듈러식 설계를 적용하여 통신모듈부분을 착탈식으로 하여 사용자가 온라인에서 오프라인으로 변환을 요구할 경우 보다 전체 구성을 유지하면서 저렴한 비용으로 업그레이드 가능하도록 배려하였다. 전원사용방식도 배터리형과 전원장치공급형 두 가지 모두를 제공하는데, 배터리의 경우 일반적인 AA형의 제품을 사용하고 있으며 전원공급공급형의 경우에는 12VDC와 24DVC 모두 가능하다. 또한, 배터리 방식에서 전원공급형으로 전환도 손쉽게 가능하게 하여 설계하여 제품의 유연성을 확대하였다. 도어록의 기계적 부분에 대하여도 다양한 선택상양이 제공되는데 먼저 기계식 실린더를 채택하여 건물에서 요구하는 마스터키 플랜구성에서 본 제품을 포함시킬 수 있게 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실린더리컬 방식, 모티스 방식 또는 데드볼트 등 기계식 도어록에서 필요로 하는 고유의 기능 포함시켜 건축적인 부분도 설계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어록 자체에 다양한 손잡이 디자인과 색상을 제공하여 건물 내부의 인테리어를 고려한 흔적도 엿 볼 수 있다. 기능적인 부분을 살펴보면, 기본적으로 문의 해정과 잠금, 문의 열림과 닫힘 상태, 배터리 잔여수명, 통신상태, 출입시간이력 등 기존의 구성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동일하게 제공되며 단독형의 경우 이들 데이터는 PDA 등을 통해 개별적으로 다운로드 받아야 하며, 온라인의 경우 원격에서 이루어진다. 이밖에 출입시간 이력내용에서 기계식 열쇠를 사용한 내역까지 제공된다. AD시리즈는 개별문의 출입통제를 위해 구성하는 제품들을 통합하여 단일 플랫폼 형태로 되어 구성이 간단하고, 외관상으로도 유리하며 비용절감의 유리한 점이 있다. 아울러, 모듈러식의 설계방식을 채택하여 신기술의 출현으로 인하여 새로운 생체인식(지문인식) 또는 카드리더 기술의 적용이 편리해졌으며,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온·오프 방식을 자유자재로 변환이 가능한 솔루션이다. 사용자나 엔지니어 모두에게 편리하고 경제적인 솔루션이 바로 AD솔루션의 목표이다. <글 : 박 병 휘│Ingersoll Rand 시큐리티사업부 한국지사장(byunghwi-park@irco.com)> [월간 시큐리티월드 통권 제160호(info@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