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제품정보


‘잊혀질 권리’ 보장...디지털 소멸 시스템을 아시나요? 2013.09.11

인간의 생로병사를 디지털에 적용한 세계 최초의 모델
타이머 설정 통해 디지털 흔적 지울 수 있어...전 세계 우선권 보장  
 


[보안뉴스 정규문]  ‘한번 생성된 디지털 데이터는 영원 불멸하다’는 기존의 고정관념 대신, 인간의 생로병사를 디지털에 적용한 세계 최초의 모델이 나왔다. 최근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악성 댓글, 사진 등 통제되지 않는 디지털 데이터 문제가 대두되는 시점에서 큰 관심을 모으고 있다.


‘디지털 소멸 시스템(Digital Aging System)’이라 지칭된 이 특허는, 디지털 데이터 내에 인간 유전자의 ‘텔로 메어’처럼, 일종의 ‘에이징 타이머’를 장착하는 방식인데, 즉, 사용자가 글을 쓰거나 사진을 올릴 때 사전에 타이머로 에이징 시점을 셋팅 해 놓으면, 해당 데이터의 만료기한에 데이터가 시한폭탄처럼 소멸하는 프로그램이다.


디지털 흔적을 근본적으로 지울 수 있는 이번 기술은 세계 최초로 특허 등록을 한 특허권자 이경아씨와 전용실시권자 스누라가 연내 프로그램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가동될 경우 각종 인터넷 및 SNS 상에 떠도는 사진, 동영상, 게시글, 댓글, 리트윗 등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 검색을 통해 세상 곳곳으로 재전파되고, 영구불멸의 상태로 존재하는 폐단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최근 법제화가 논의되고 있는 온라인상의 개인정보의 삭제를 요구할 수 있는  ‘잊혀질 권리’에 핵심기술이 될 것으로 예측했다.  


특히, 특허를 출원한 현직 초등학교 교사인 이경아 씨는 제자가 초등학생 당시 철없이 올린, 지워지지 않는 인터넷 게시물 때문에 중학생이 되어서도 상처를 받아 하소연 했던 사연에서 영감을 얻어 ‘디지털 에이징 시스템’ 을 발명하게 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관련 포털업계에서는 이 기술이 단순이 개인 데이터를 인터넷에서 없애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기존의 막대한 서버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해 줄 수 있다며 디지털 소멸 관련 시장 규모는 국내에서만 1조원이 넘고, 나아가 국내 기업이 원천기술을 보유함으로써 전세계적으로 그 규모 또한 100조원 이상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전재호 스누라 대표는 “앞으로 모든 개인 PC 및 스마트폰과 인터넷 포털기업 그리고 하드웨어 관련 회사들이 DAS를 통해 자신의 자발적인 에이징 설정으로 개인 PC나 스마트폰 및 서버에 불필요한 정크데이타(Junk data) 를 자동으로 소멸시킬 수 있다”며, “개인저장공간 확보, 사생활 침해 보호 및 잊혀질 권리에 대한 보호장치를 확보하고 과도한 서버비용의 획기적인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전망된다” 라고 이번 DAS 기술의 의의를 설명했다.


현재 이 기술은 해외특허 출원을 위해 이미 스위스에 소재한 PCT(국제특허조사기관)에서 전세계 우선권을 보장받은 상태이고, 유명 대형 특허 로펌을 통해 미국, 중국, 일본, 유럽 등에 국제특허 출원 의뢰 중이다.


[DAS의 주요 기능]

DAS가 실행되는 환경은 아래 3가지를 포함, 모든 디지털 환경이다.

   1) 서비스 사업자(포털 등)의 ‘Admin 단’에서의 실행

   2) 퍼스널 사용자의 직접적인 프로그램 설치에 의한 실행

   3) 하드웨어의 OS 및 펌웨어 적용 시, 실행 등 - 모든 디지털의 생성 단계에서

      부터 근본적으로 Aging 시스템을 가동하는 근본적 방식.

마치 선풍기 타이머처럼 DAS Timer가 작동되어 댓글, 게시글 등의 생성시에

    그 소멸의 시점과 노화의 방식을 결정하게 됨.

DAS 시스템이 가동되면, 모든 프로그램은 ‘빛 바래기’, ‘노이즈 끼기’,

    ‘변형되기’ 등의 방식을 통해 노화가 진행되며, 데이터 생성자나 방문자가

    없다면 노화는 더욱 촉진되고 아무도 찾지 않는 가치 없는 상태가 되면

    DAS 로직에 의해 0바이트로 소멸하게 됨.

또한, DAS 사용자의 사용 HISTORY를 www.logmemory.com과 연계하여

    Full SCRIPT로 기록.

[정규문 기자(kmj@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http://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