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제품정보


‘만물인터넷’ 향후 10년간 4조 천억 달러 가치 창출 전망 2014.01.10

시스코, 만물인터넷공공부문 경제적 가치 강조....

 

[보안뉴스 김태형] 시스코는 ‘CES 2014’에서 향후 10년간 ‘만물인터넷(Internet of Everything, IoE)’이 전 세계 공공 부문에서 약 4조 6천억 달러(한화 4,912조원)의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는 새로운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시스코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정부와 예하 기관들은 사람, 프로세스, 데이터를 비롯해 세상 모든 만물을 새롭게 연결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공무원들의 업무 생산성을 개선하며, 세수를 늘리지 않고도 새로운 수익을 창출하는 동시에 시민들에게 다양한 혜택을 제공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미 스페인의 바르셀로나 시는 만물인터넷 솔루션을 구현해 시민들에게 새롭고 다채로운 서비스와 경험을 선사하고 있다. 시민들이 각 지역의 주민센터를 방문하지 않고도 가상 환경에서 각종 공공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비디오와 협업 기술을 활용해 유럽 최초의 가상 시민 서비스를 개발한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세계에서 앞서가는 ‘스마트+커넥티트 커뮤니티(Smart+Connected Community)’라는 명성에 걸맞게 상하수도 관리, 스마트 주차 시스템, 폐기물 관리 및 커넥티드 버스에도 만물인터넷 솔루션을 적용해 시 예산 절감과 시민 서비스 향상의 효과를 동시에 누리고 있다.


시스코는 향후 10년간 전 세계 도시들이 만물인터넷을 통해 약 1조 9천억 달러(한화 2,029조 원)의 잠재 가치를 창출해낼 것이며, 이런 경제 가치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 수도 관리, 가스 검침 등의 ‘킬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창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만물인터넷을 기반으로 냉난방공조 및 기타 시스템을 통합해 전력 및 운영 비용 절감 시 스마트 빌딩들은 1천억 달러 상당의 가치 창출 가능.


- 만물인터넷을 활용해 가스 검침 비용을 절감 및 검침 정확도 향상으로 약 690억 달러 수익 창출 가능


- 도시 전체의 주차 가능 공간을 실시간으로 알려주는 스마트 주차 시스템으로 410억 달러의 가치 창출. 주민들은 거주지에서 가장 가까운 주차 공간을 확보할 수 있고, 주차단속반은 보다 쉽게 불법주차 차량들을 단속하고 지방자치제들은 주차 수요에 기반해 요금을 책정할 수 있게 된다. 


- 가정 내 수도 검침기를 IP네트워크에 연결, 원격으로 사용 실태 및 현황을 확인하는 수도 관리 시스템으로 390억 달러의 가치 창출. 


- 도로 혼잡 통행료 징수제로 약 180억 달러의 수익 창출. 자동차들이 도심의 혼잡통행료 징수 구간에 진입시 자동으로 통행료를 징수하는 편의는 물론, 교통 상황이 개선되고 수익을 늘리는 효과를 볼 수 있다.


윔 엘프링크(Wim Elfrink) 시스코 산업 솔루션 사업부 총괄 부회장 겸 최고 글로벌라이제이션 책임자는 “전 세계적으로 도시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이제 각 도시들은 인구 증가에 따른 제반 사항에 책임감 있고 유연하게 대처하기 위해 공공자원 확충과 같은 방안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며, “만물인터넷은 도시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시민들이 정부와 소통하는 방법을 전반적으로 혁신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시스코 보고서에 따르면, 만물인터넷은 도시 운영뿐 아니라 정부 운영 전반에 걸쳐 다양한 혜택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 국가 기관의 경우 교량 유지관리, 범죄자 인도, 만성 질병 관리, 커넥티드 교육 및 야외 화재 진압 등 업무에 만물인터넷을 도입하면 약 6천820억 달러의 가치 창출이 가능하다.


- 비국방 부문 연방기관들은 만물인터넷 솔루션을 도입해 재난 대응, 수송 및 운송 관리, 사이버 보안 등 다양한 부문에서 성과 향상을 도모함으로써 약 4천720억 달러의 가치를 생산해낼 수 있다.


- 만물인터넷 도입 시, 전 세계 국방 기관들은 병사, 기지, 군용차량 및 전투 자원을 서로 안전하게 연결하고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군 임무수행 효율성을 제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 세계적으로 1조 5천억 달러에 해당하는 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병사들의 안전 역시 크게 증대될 수 있다.


만물인터넷을 적용해 전세계적으로 3억5천만 명에 달하는 공공 부문 인력의 노동 생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각 지역 정부 기관 및 비국방 부문 연방 기관들은 엄청난 가치를 생산해낼 수도 있다.


한편, 시스코가 발표한 ‘만물인터넷: 공공부문에서 4조 6천억달러 가치 창출 기회(Internet of Everything: A $4.6 Trillion Public-Sector Opportunity)’ 보고서는 지난 2월 자사에서 실행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작성되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향후 10년 간 만물인터넷을 통해 기업들이 창출할 수 있는 가치는 14조 4천억 달러에 달하며, 공공 부문에서 창출될 가치는 4조 6천억 달러에 달해, 전세계적으로 공공 및 비즈니스 부문에서만 총 19조 달러의 가치 창출이 가능한 것으로 전망된다.


이 보고서 전문 및 관련 FAQ, 보고서 10대 하이라이트 내용은 관련 웹사이트(www.internetofeverything.com)에서 확인 가능하다.

[김태형 기자(boan@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http://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