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안 제품정보


산·학·연 전문가 220여명이 꼽은 정보보호 10대 기술은? 2015.11.16

KISA, 향후 3년 내 산업화가 시급한 정보보호 10대 기술 발표
바이오인증, 이상공격징후 탐지, 클라우드 등 보안기술 선정


[보안뉴스 민세아]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백기승, 이하 KISA)은 16일 ‘산업체가 주목해야할 정보보호 10대 기술’을 발표했다. 진화하는 사이버위협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 향후 2~3년 내에 산업적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술을 꼽은 것이다.

▲산업체가 주목해야 할 10대 정보보호 기술


이번에 발표된 정보보호 기술들은 사이버사기 등 사회적 문제 해결을 위한 국민안심기술, 사이버위협 예방을 위한 기관 및 기업보안기술, 국가·공공 인프라 등 안전사회 기반기술 등 3개 정보보호 연구개발(R&D) 분야의 선도적 기술이다.

시급히 개발되어야 하는 정보보호 10대 기술들은 최근 1년간 발생한 보안위협, 국내외 정책 및 기술동향 등을 종합분석하고, 산·학·연 전문가 220여 명의 의견수렴 및 설문조사를 통해 선정된 후보군 중 시급성, 파급효과 등을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종 선정됐다.

먼저, 국민안심기술로는 △개인정보 유출 불안감 해소를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및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정보유출 이상행위 분석기술’ △급증하는 스미싱 피해 등 모바일 보안위협을 사전 예방하기 위한 ‘모바일 악성코드분석 기술’ △전자상거래 등 비대면 인증환경에서 안전성과 편리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바이오 인증 등 패스워드 대체기술’ 등 국민생활 민감도가 높은 분야의 기술들이 포함됐다.

또한, 기업보안기술로는 △특정 기업 및 기관을 타깃으로 하는 지능형 사이버위협을 감지하는 ‘APT 이상공격징후 탐지기술’ △스마트기기 내 잠재적 보안취약성을 제거하는 ‘디바이스 및 소프트웨어 취약성 분석기술’ △추가적인 소프트웨어나 하드웨어 설치 없이 정보보안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보안서비스 기술’ 등도 개발이 필요한 기술로 꼽혔다.

특히, 안전사회 기반기술로는 △스마트 냉장고, 스마트 TV 등 사물인터넷 기기들의 통신 과정과 취약점을 분석해 보완하는 ‘보안게이트웨이 등 IoT 보안기술’ △원전 등 사회 기반시설 해킹을 방지하는 ‘산업용 방화벽 등 접근제어 및 망분리 기술’ △보급이 확산되고 있는 웨어러블 기기에서 정보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스마트기기 보안 운영체제·통신기술’ △차세대 무선통신인프라 보호를 위한 ‘4G·5G·WIPS 보안기술’ 등이 필수적인 기술로 선정됐다.

한국인터넷진흥원 백기승 원장은 “산업적 수요를 반영한 정보보호 기술의 선제적 개발, 정보보호R&D기술공유센터를 통한 연구기관 간 역량결집 및 산업체의 기술사업화를 적극 지원하는 등 글로벌 사이버보안 기술 경쟁력 강화를 위해 적극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민세아 기자(boan5@boannews.com)]

<저작권자: 보안뉴스(www.boannews.com) 무단전재-재배포금지>